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순위

(15)
[43화 결전4-퇴장] 스카우터 측정 1. 회차 등장 인물(전투씬 및 전투력 관련 언급이 있을 경우 진하게+밑줄) 무커, 산군, 추이, 홍의부, 효 2. 전투 및 상황 요약 산군을 넘어 온 무커의 앞발에 추이대장은 놀라움과 함께 큰 충격을 받고 (*무커는 푸른불(고마)+공간이동(무두리) 술법을 완전히 습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어린 시절의 기억을 떠올린다. 할아버지 추이로 부터 이유도 모른채 흰 산을 넘지 말라는 말을 들으며 자랐고 (* 추이대장의 어린시절인지 성체인지는 알 수 없으나, 할아버지 추이보다 작은 체구를 가졌다. 이전 화에서 추이대장이 이전 세대보다 발도 느려지고 몸집도 작아졌다고 이야기 한 적이있다.) 정확히 공격이 들어갔으나, 추이대장이 쓰러지지 않자 무커는 초조해하고, (* 추이대장은 내구력은 무커의 가장 강력한 일격(푸..
[39화 물 불 바람] 스카우터 측정 1. 회차 등장 인물(전투씬 및 전투력 관련 언급이 있을 경우 진하게+밑줄) 무커, 미호, 산군, 추이 2. 전투 및 상황 요약 미호를 낚아채 산군을 공격한 표견 외에도 다른 표견 하나가 백호를 제압하고 있다 산군을 찾았다는 말에 떠나가고 (* 표견은 개의 냄새가 난다.) (* 백호 중 한마리는 사업장에 있었다.) 모여든 표견들은 산군을 제압하려 하나, 산군은 표견에게 기습을 당하였지만 표견의 전투력을 압도한다. (* 표견은 밤에 눈이 어둡다.) 무두리술법을 이용하여 우두머리 표견을 먼저 제압한 산군은 미호를 구해내나, 아직 술법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정도의 회복을 하지 못한 상태였고, 두마리의 표견은 산군을 이길 수 없음을 인지하고 흩어진다. 산군은 근처의 백호들에게 미호를 맡기고, 날개가 찢어진 표견을..
[34화 무커의 정체] 스카우터 측정 1. 회차 등장 인물(전투씬 및 전투력 관련 언급이 있을 경우 진하게+밑줄) 랑, 무골, 무커, 추이, 풍, 홍의부, 흰눈썹 2. 전투 및 상황 요약 촌장 일행은 홍의부의 제촉으로 이른 시간 부터 급히 마을로 돌아가는 중이며, 촌장은 동구가 만든 망태기는 복주머니 같다며 농을 던지자, 동구는 촌장의 농을 확인하려 한다. 풍은 동구의 접근에 놀라 손을 뻗고, 다행히 돌아온 홍의부가 손을 막아낸다. (* 풍의 전력은 아닐 것으로 보이나, 풍의 일격을 막아서는 홍의부의 피지컬과 전투기술은 인간들 중에서는 최상급으로 보는 것이 맞을 것 같다.) 이후, 촌장의 재지로 풍은 떠나고 동구는 망태기가 자신이 만든것과 거의 똑같아 보인다고 말한다. (* 실제 동구가 까치목골에서 만든 망태기이며, 황요가 아이들을 망태기에..
[32화 부활] 스카우터 측정 1. 회차 등장 인물(전투씬 및 전투력 관련 언급이 있을 경우 진하게+밑줄) 랑, 무커, 미호, 베르텐게, 추이, 풍, 홍의부 2. 전투 및 상황 요약 추이대장은 (공명)무커가 아랑사를 쫓아가지 못하도록 끈질기게 방해를 하고, 직접적인 전투는 피하고 시간을 끌어보려 하지만, (* 상황에 적합한 판단력) 자신이 아닌 먼곳을 바라보는 (공명)무커의 시선 끝에 깨어난 산군을 발견하게된다. 한편, 황요에게서 아이들을 전달받은 풍은 국경 인근의 인간들의 읍성을 지나가며 느껴지는 인간들의 사악한 기를 견디기가 쉽지 않고 푸른 늑대들은 표견의 냄새를 맡게되고 베르텐게의 지시에 따라 랑은 마을로 들어간 풍의 뒤를 쫓는다. (* 짐승들도 영물 외에 미물과 같은 급을 나누는 기준을 가지고 있다.) 결국 풍은 능선을 타서 ..
[31화 산군의 기억] 스카우터 측정 1. 회차 등장 인물(전투씬 및 전투력 관련 언급이 있을 경우 진하게+밑줄) 무커, 산군, 추이, 풍, 황요, 아린(흰마귀, 영응왕) 2. 전투 및 상황 요약 황요가 아이들의 걱정으로 천천히 움직이자 풍은 마을을 가르질러 가자고 하고 황요는 남아있는 추이가 걱정되어 풍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풍은 잠깐의 고민은 있었지만 끝내 거절하게되고 추이대장의 판단과 전투력을 믿으며 물러서자고 권하나, 황요는 아이를 풍에게 내어주고 까치목골로 돌아가려 마음먹는다. (* 추이는 타이지 계급에 속한다.) (* 그날(?) 이라 명시된 사건이 있었고, 사건을 겪은 타이지 중 심신이 온전한건 추이대장 뿐이다. = 타이지 중 최상급) 아이를 받아든 풍은 황요에게 못내 미안함 마음과 걱정되는 마음이 들어 가지고 있던 단약을 넘겨주..
[29화 사나운 큰 물] 스카우터 측정 1. 회차 등장 인물(전투씬 및 전투력 관련 언급이 있을 경우 진하게+밑줄) 녹치, 무골, 무커, 왕태, 울라, 추이, 풍, 황요 2. 전투 및 상황 요약 흰눈썹은 예기치 않은 상황에 매우 당황하게 되며, 녹치를 추궁하는데 ( * 흰눈썹은 무커가 흰산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일이 생각과 달리 흘러가는 것을 느끼자 황급히 무골을 투입시킨다. 무골은 흰눈썹의 새로운 의뢰를 받으며, 녹치 등을 비꼰다. (* 보수를 넘겨받는 무골의 모습에서 염동력 계열 능력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무골의 기준으로 실제 녹치 등이 등급 미만인지, 용병단 수준과 비교시 미만인지 알 수 없으나, 무골의 평가에 따르면 녹치 등은 말뚝을 캐던 수인만큼의 역량도 되지 못한다고 판단하는 정도이다.) 무커..
[22화 알 수 없는 힘] 스카우터 측정 안녕하세요. 호랑이형님스카우터 입니다. 22화(2015-08-14) 내용 정리입니다. 1. 회차 등장 인물(전투씬 및 전투력 관련 언급이 있을 경우 진하게+밑줄) 무커, 미호, 아랑사, 추이, 황요 2. 전투 및 상황 요약 엄마(미호) 목소리를 듣고 밖으로 나온 아랑사는 엄마를 찾고... 죽은 줄 알았던 황요는 귀신의 조종에 따라 단약을 복용한다. 아랑사의 울음소리에 아비사도 깨어나게 되고 엄마와의 약속을 기억하던 아비사는 아랑사를 나가지 못하게 붙잡다 서로 울음을 터트리게된다. 목소리만으로 아이들을 진정시키며, 죽은 창귀호들을 옮기는 미호 (* 여우구슬은 약간의 물리력도 있다.) 아랑사는 진정하려 하나, 죽었던 범이 창귀에 의해 움직이기 시작하자 겁을 먹고 촛점을 잃는다. 죽은 줄 알았던 황요의 숨이 ..
[18화 잊혀진 이야기 11 - 끊어진 염주] 스카우터 측정 안녕하세요. 호랑이형님스카우터 입니다. 18화(2015-07-17) 내용 정리입니다. 1. 회차 등장 인물(전투씬 및 전투력 관련 언급이 있을 경우 진하게+밑줄) 바쿠, 추이, 황요 2. 전투 및 상황 요약 염주가 끊어진 후, 수인의 모습으로 변하는 바쿠 뼈와 장기의 구조가 바뀌는 고통을 커 주위의 수인들에게 행패를 부리는데 * 염주는 술법으로 인해 스스로 끊지 못한다. 추이대장이 기회를 노려보지만, 수인형으로 변한 바쿠는 인간형일때와는 달리 추이대장의 공격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수인형으로 변화시, 내구력 포함 육체적 능력 향상) 추이대장이 눈에 밟힌 황요는 추이대장을 구하려 하고, 김공에게 무슨일이 생길 경우 '구망'님을 찾으라 한다. 황요의 제지에 바쿠는 화를 내는데 (*바쿠가 변종 출신이라는 ..
[17화 잊혀진 이야기 10 - 각성] 스카우터 측정 안녕하세요. 호랑이형님스카우터 입니다. 17화(2015-07-10) 내용 정리입니다. 1. 회차 등장 인물(전투씬 및 전투력 관련 언급이 있을 경우 진하게+밑줄) 바쿠, 추이, 황요 2. 전투 및 상황 요약 정신이 없는 상황속에서도 흰마귀라는 단어에 반응하는 추이대장 바쿠에게 인기척도 없이 다가가자 바쿠는 추이대장의 행동에 불쾌함을 느낀다. 그러나 추이대장의 머릿속에는 '흰마귀' 라는 단어 만이 멤돌고 자신의 일족을 학살하던 모습에 죽이지 마라는 말만 반복한다. 바쿠는 추이에게 느끼던 불길함에 죽여버릴 결심을 하나, 추이대장이 바쿠에게 힘으로 밀리지 않고 반격하기에 까지 이른다. 바쿠는 술법까지 써가며 추이를 없애려했으나, *색상으로 봤을 때, 불술법일 것으로 예상됨. 추이의 공격 앞에 바쿠는 조금씩 밀..
[15화 잊혀진 이야기 8 - 붉은산] 스카우터 측정 안녕하세요. 호랑이형님스카우터 입니다. 15화(2015-06-26) 내용 정리입니다. 1. 회차 등장 인물(전투씬 및 전투력 관련 언급이 있을 경우 진하게+밑줄) 황요, 김공 2. 전투 및 상황 요약 황요는 인간들 중 책임자(김공)을 데리고 붉은 산으로 향하고, 붉은 산 입구에 도착하자, 알 수 없는 짐승이 입구를 지키고 있다. 인간 측의 준비 상황을 묻는 황요는 별무반을 언급하나 김공은 몇 백년 전, 전조의 임시조직이라며 의문을 표하나, 황요는 인간측의 왕조와는 상관없이 준비상황을 다시 한번 묻는다. * 인간측과 붉은산의 알수 없는 공조는 몇 백년간을 이어왔다. * 조정이 바뀐지 20년이 훌쩍 지났다는 말을 통해 조선 초기임을 알 수 있으며, 태종 후기 또는 세종 초기 임을 알 수 있고, (태조 6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