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호랑이형님스카우터 입니다.
17화(2015-07-10) 내용 정리입니다.
1. 회차 등장 인물(전투씬 및 전투력 관련 언급이 있을 경우 진하게+밑줄)
바쿠, 추이, 황요
2. 전투 및 상황 요약
정신이 없는 상황속에서도 흰마귀라는 단어에 반응하는 추이대장
바쿠에게 인기척도 없이 다가가자 바쿠는 추이대장의 행동에 불쾌함을 느낀다.
그러나 추이대장의 머릿속에는 '흰마귀' 라는 단어 만이 멤돌고 자신의 일족을 학살하던 모습에
죽이지 마라는 말만 반복한다.
바쿠는 추이에게 느끼던 불길함에 죽여버릴 결심을 하나,
추이대장이 바쿠에게 힘으로 밀리지 않고
반격하기에 까지 이른다.
바쿠는 술법까지 써가며 추이를 없애려했으나,
*색상으로 봤을 때, 불술법일 것으로 예상됨.
추이의 공격 앞에 바쿠는 조금씩 밀리고,
처음 수인의 몸에 적응하지 못하고, 앞발을 사용하듯 공격하던 이전과는 달리
바쿠의 공격에 흘리듯 땅에 꽂아 넣는다.
위기감을 느낀 바쿠는 자신이 업신여기던 술법을 아낌없이 사용하며 추이를 압도하려하지만
청력에만 의지한 추이대장은 전투에서 조금씩 밀리게 된다.
추이대장의 작은 움직임에도 긴장하는 바쿠는
무리를 해서라도 끝낼 결심을 하는데
그 시각 붉은 산내에 '어르신'이 기침하셨다는 전언이 전달된다.
3. 총평
- 아무런 기억도 정신도 없는 상태이지만 흰마귀라는 단어에 반응할 정도로 추이대장의 원한은 깊다.
- 추이대장은 눈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도 바쿠가 인지하지 못하고 다가갈 정도로 은밀하다.
- 추이대장은 바쿠보다 힘(완력)이 강하다.
- 수인으로 바뀌고 난뒤에는 바뀐 몸에 맞는 수인의 전투방식을 배워야한다.
: 추이대장은 발톱이 없음에도 발톱으로 공격한다.
- 추이대장은 청력만으로 바쿠의 위치를 찾아내고 전투에 돌입할 정도로 집중력이나 기감이 뛰어나다.
- 바쿠는 불 술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술법을 업신여기며 무투를 더 중시하는 듯한 모습이다.
- 바쿠의 불 술법은 순간이동(혹은 빠른이동)이 가능하다.
- 바쿠의 주먹과 발길질을 견뎌내는 모습을 볼 때, 추이대장은 황웅보다 훨씬 강한 내구력을 가지고 있다.
심지어 추이대장은 인간형, 황웅은 수인형이었으며, 황웅은 바쿠가 죽일 생각이 없었다.
- 눈이 먼 추이대장에게 고전하던 바쿠는 불길함을 느끼고 무리를 해서라도 추이대장을 끝낼 결심을 한다.
- 어르신 이라 불리는 붉은 산 세력의 특정 인물이 거론되었다.
- 염주를 끊는 행위는 바쿠도 긴장할 정도로 고통이 생긴다.
4. 클래스 구별
* 추가 내용 밑줄로 표기
- 한개체가 3마리 또는 그 이상의 동일 개체를 학살할 수 있을 정도면, 급이 다른 개체 또는 종족이라는 생각을 한다.
- 같은 그룹 간의 전투 결과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그룹을 넘어선 전투 결과는 나타나기 어려운 차이이다.
- 신규 추가 내용 : 진하게, (*)표시
- 시점이 변한 만큼 누적된 수정사항은 없음. 산군은 과거(7살)에도 마물들을 사냥하는 강한 전투력을 가지고 있었다.
- 과거의 시점이지만 8화까지 작성된 내용과 크게 문제 될 부분은 없어 보여 해당 표에 첨부할 예정이다.
: 추이(짐승형)은 현재와 다른 모습 및 전투력이라 구별하여 표기
: 산군, 무커는 등장하지 않았으나, 산군의 나이가 약 7살 정도일 것으로 추정될 때 까치목골(약 10살)의 전투력과 큰 차이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 수명 및 생활 등의 분야에서 호랑이형님의 설정과 차이가 날 수는 있으나, 호랑이는 태어난 지 1년 6개월 ~ 2년 이상이 지나면 어미를 떠나 자신의 영역을 확보하고 독립적인 생활을 한다고 할 때 (위키백과)이미 산군은 3년 뒤(까치목골 전투)와 비교해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을 절정의 기량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추측)
- 3년 전 비라 vs 무커 vs 산군의 과거 전투기록으로 현재 정리 중인 전투력에 반영은 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 추이대장과 대적하는 대부분의 인물이 추이대장에게서 불길함을 느낀다.
그룹 | 이름 | 설 명 | 최소 등급 |
3F | 추이(수인형) | 산군의 목적을 파악하는 뛰어난 안목과 최후의 한방을 준비하는 무커를 한번에 제압 할 수 있는 실력 산군과의 대결도 일방적인 구타로 진행 적이지만 아량을 베풀줄 아는 인(?)성.. 불술법을 사용할 수 있다. + 불술법은 순간(고속?)이동도 가능하다 매우 뛰어난 회복능력을 가지고 있다. |
고마 무두리사부 아린 흰눈썹 버르테 |
2F | 추이(인간형), 무커, 산군 |
창귀호를 평타로 잡을 수 있을 정도 수준이다. 산군 - 끝까지 기회를 노리는 집념과 정신력, 뛰어난 맷집과 회복력 잊혀진 어린시절의 트라우마와 상성을 단기간에 극복하는 정신력 |
바쿠(인간형) |
1F (신설) |
비라 | 무커와 합을 겨룰 수 있으나, 아린과 공명이 된 상태에서도 준비한 일격이 무커에게 유효한 타격을 하지 못하는 것을 볼 때, 무커와의 격차는 있어보인다. 하지만 아래 단계인 일반추이들을 학살한 것으로 볼 때 추이와는 구별된 등급으로 생각된다. | 추이(짐승형) 흰눈썹 울라 황웅(수인형) 황요 |
B1 | 창귀호(창귀+범) 일반추이 |
창귀호 - 창귀로 인해 갑절 이상의 힘을 낼 수 있지만, 여기도 고양이다....측정할 필요도 없음. 일반추이 - 범들을 먹이로 삼을 정도로 강한 개체 이지만 그 이상은 어려워보인다. |
녹색 눈 변종수인(인간형) |
B2 | 일반 범 | 호형의 길고양이 같은 느낌이다.....바닥이다. 이름도 없고 비중도 없다 | 흰산 범 푸른늑대 |
B3 | 일반 인간 | 가장 밑바닥일 것 같다. 육체적인 전투력이 낮은 황요도 단도 하나들고서 인간들을 낮잡아 보는 상황과 당연한 얘기지만 일반 사람들은 호랑이를 무서워하고 이길 수 없다. 까치목골 목책으로 호랑이들이 몰려오자 주민들은 두려워한다. |
가우리 |
* 추이대장(인간형) : 까치목골 기준 3년 전 시점. 변종수인으로 개조되었으나 원래의 날카로움이나 기술, 술법을 사용하지 못하여, 짐승 일 때의 수준과 큰 차이를 내지 못하거나 이하 일 것으로 생각됨. 수인화 후, 몸에 맞는 전투기술이 부족하나, 강화된 몸으로 바쿠(인간형)과의 싸움에서도 핸디캡(눈이 안보임) 밀리지 않음. 바쿠가 추이대장을 죽일 목적으로 공격을 가했으나, 견뎌낼 정도로 내구력이 강함. 바쿠(인간형)보다 강한 힘(완력)을 가짐.
* 바쿠(인간형) : 추이대장(인간형)과 황웅(수인형)을 일방적으로 폭행하는 것으로 볼 때, 최소 추이대장보다 1단계 이상의 전투력을 가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불 술법을 이용한 순간이동 등을 할 수 있고, 핸디캡을 가진 추이대장(인간형, 눈이 안보이며, 수인의 몸에 전투기술 등이 적응하지 못한 상태)에게 우위를 점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나 추이대장의 능력 향상 부분으로 보는게 맞을 것 같다.
* 황웅(수인형) : 바쿠(인간형)과의 일방적인 패배를 하였으나, 바쿠가 자신의 목적에 따라 기회를 주려하는 모습을 볼 때 수인중에서도 강한 전투력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변종 수인(인간형) : 말뚝을 캐는 수인이 전투력을 잃은 소라는 김공의 평가를 받으나, 기본 베이스 자체가 각지의 이름난 맹수들이었다는 점만으로도 일반 맹수인 범보다는 상위의 전투력을 가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 무커 : 일반 성체 호랑이보다도 훨씬 큰 피지컬과 그에 맞는 힘과 내구성(비라의 공격에 타격이 없어 보임, 코피 정도..). 푸른 불의 술법을 사용하며 강력한 파괴력을 가짐.
* 산군 : 비라에게서 많은 전투기술들을 전수 받음. 무커가 인지 하지 못할 정도로 빠른 이동방법(단발성 술법인지는 불확실)을 가지고 있음.
* 비라 : 특별한 언급은 없으나, 일반추이를 잡기 위해 보내는 모습을 보면 일반추이들보다는 강한 전투력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비라가 전투기술적인 면에서는 무커를 앞서는 것으로 보이나, 준비한 일격이 전혀 유효하지 못한 것으로 볼 때, 무커와의 격차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울라 : 전투 장면이 없으나, 흰눈썹이 비라는 본인이 해결해 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볼 때 비라, 흰눈썹보다 강한 전투력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 추이(짐승형) : 영물이라 인정되는 흰눈썹과의 전투 상황이나, 일반추이를 한번에 잘라내는 등의 공격력을 볼 때 B1보다는 1F 등급에 맞다고 생각된다. 아린의 위협에도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등의 모습을 볼 때 강한 염원 또는 정신력을 소유했다고 볼 수 있다. 재생벌레를 먹고서 목이 끊어져도 붙을 정도의 강한 회복력을 갖게 되었다. 아린의 구속력을 깨고, 무리들마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각성 능력을 갖고 있다.
* 흰눈썹 : 추이와의 대결에서 돌아갈것을 종용하거나, 살생의 의사는 없어보이는 태도를 볼 때 전력을 다했다고 보기에는 어려우나, 추이대장과의 대결 양상으로 보면 추이대장(짐승형)과 큰 차이는 없어 보인다.
* 아린(흰마귀) : 추이들을 학살하며 등장. 수많은 추이를 학살하는 동안 누구도 낌세를 알아채지 못했고, 마치 산책하듯 가벼운 몸놀림으로 추이들을 제거했을 것으로 보인다. 1차 추이 침입시 아린의 존재만으로도 추이무리가 물러난 것으로 볼 때 추이대장을 상회하는 전투력을 가졌을 것으로 보인다. 등장만으로 추이들이 움직일 수 없을 정도의 존재감 또는 강한 구속력을 가지고 있다.
* 녹색 눈 : 흰산 범들을 학살한 것으로 볼 때, 최소 B1(창귀호) 보다는 한단계 위의 전투력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흰산에서 무커를 누가 제압했느냐에 따라 2F(추이) 급 까지도 가능한 전투력
* 황요 : 창귀라는 특수성이 있지만, 조종하는 귀신의 수준을 볼 때, 범들을 기준으로 수준을 논할 수 는 없을 것 같다. 창귀를 통해 범들의 카운터처럼 보이지만 전투를 파악하는 센스와 전투력은 부족해보인다. 바쿠와의 혹시 모를 참사를 대비해 붉은 단약을 먹기는 하나, 상황 판단 능력이 뛰어난 황요의 특성상 바쿠와의 최악의 상황까지 고려하고서도 목적을 위해 나선 것으로 볼 때, 바쿠가 인간형일 때에는 어느정도 목적한 바를 이룰 수 있을 정도의 승산을 볼 수 있는 전투력이라고 생각하여 1등급 상승.
1F 이하 고정 캐릭터(일반 범 등) 내용 생략(내용 확인이 필요하실 경우, 1~12화 리뷰 확인 요청드립니다.)
이후 조금 더 인물이 등장하게 되면 수치화된 전투력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성장과 능력이라는 키워드에 맞게 타임라인과 더불어 진행해보겠습니다.
현재화는 까치목골 기준 3년 전입니다.
'1부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화 잊혀진 이야기 12 - 구망] 스카우터 측정 (1) | 2022.09.28 |
---|---|
[18화 잊혀진 이야기 11 - 끊어진 염주] 스카우터 측정 (0) | 2022.09.27 |
[16화 잊혀진 이야기 9 - 정하는 자 바쿠] 스카우터 측정 (1) | 2022.09.21 |
[15화 잊혀진 이야기 8 - 붉은산] 스카우터 측정 (0) | 2022.09.20 |
[14화 잊혀진 이야기7 - 불길한 기운] 스카우터 측정 (0) | 2022.09.19 |